역사는 반복됩니다.
1985년, 2014년, 그리고 지금 2025년—우리는 다시 한번 저유가와 기술 혁신이 만나는 순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 1985년, 사우디의 드릴이 시작됐다
1985년,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를 무제한으로 뽑아내며 유가가 50% 폭락합니다.
그 결과, 15년간 이어진 저유가 시대가 열렸습니다.
이 시기, 우리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이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기억하게 됩니다.
기름값이 싸지자 자본은 생산성 높은 기술로 몰렸고, 닷컴 버블로 이어졌습니다.
🛢️ 2014년, 미국의 셰일 혁명
2014년엔 오바마의 셰일가스 혁명으로 유가가 60% 폭락합니다.
또다시 8년간 이어진 저유가의 시대가 열립니다.
그 결과는 익숙합니다.
코로나 버블, 빅테크의 질주, 자율주행, 클라우드, 모바일의 폭발.
🛢️ 2025년, 트럼프의 "Drill, baby, drill"
2025년, 트럼프 대통령의 귀환과 함께 역사는 또다시 반복되고 있습니다.
그의 슬로건은 명확합니다:
"드릴, 베이비, 드릴!"
미국은 석유 생산을 전면 개방했고, 사우디, 카타르, UAE 등 중동 국가들까지 증산에 나섰습니다.
유가는 현재 가파르게 하락 중입니다.
새로운 저유가의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 저유가는 버블을 낳는다
- 1985년 저유가는 닷컴 버블을,
- 2014년 저유가는 코로나 버블과 빅테크의 폭발을 낳았습니다.
이제 2025년,
AI 버블의 서막이 열리고 있습니다.
🤖 AI 버블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은 단순하지만 명확합니다.
- 중동 산유국 방문: 사우디, 카타르, UAE를 직접 찾고
- AI 반도체를 판매: 최신형 NVIDIA 칩을 넘기며
- 군사 안보 제공: 미국의 안보 우산을 씌우는 대신
- 석유 증산 약속 확보: 사우디는 오일머니와 함께 석유를 쏟아냅니다
이건 단순한 외교가 아닙니다.
AI 반도체 + 저유가 + 안보 동맹 = 글로벌 패권 전략입니다.
💰 저유가 + 중금리 = AI 버블로 간다
- 미국은 중금리로 진입 중입니다.
- 빅테크는 현금 4,800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고
- 금리가 낮아지면 7조 달러의 MMF 자금도 주식시장으로 유입됩니다.
고금리에도 설비투자하던 기업들이
중금리 환경에서는 폭발적 성장을 만들어낼 것입니다.
🧱 그러나 이 길은 험난합니다
AI 버블로 가기 위해 넘어야 할 4가지 변수가 있습니다:
- 파월의 금리 인하 시기
- 재무부의 부채한도 협상 (TGA 장고)
- 일본의 금리 인상 (N-캐리 트레이드 청산)
- 트럼프의 7월 8일 관세 유예 종료 결정
이 변수들은 모두 7~8월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시장엔 -5%, -10% 수준의 조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결과가 아닌 과정입니다.
🔮 결론: 우리는 AI 버블의 초기 구간에 있다
- 1985년 저유가는 15년을 갔습니다
- 2014년 저유가는 8년을 갔습니다
- 2025년 저유가는 지금 시작됐습니다
우린 그 안에서 살고 있습니다.
과정은 험난하지만, 결과는 찬란할 수 있습니다.
💬 마지막 한 마디
“긍정적인 미래와 긴 시계로, 조정을 기회로 삼아야 할 때입니다.”
2025년, 우리는 다시 한 번
생산성과 저유가,
AI와 자본의 폭발이 만나는
역사의 교차점 위에 서 있습니다.
✍️ 작성일: 2025년 6월 8일
📈 태그: #트럼프정책 #AI버블 #저유가시대 #엔비디아 #빅테크투자 #미국증시 #에너지패권 #중동정세 #중금리전략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 vs 트럼프, 테슬라 대폭락 사태의 전말 (1) | 2025.06.10 |
---|---|
2025년 6월 5일(목) 미국 증시 마감 요약: “트럼프 vs 머스크, 기술주 흔들다” (3) | 2025.06.08 |
2025년 6월 6일(금) 미국 증시 마감 요약: “S&P 6000 돌파! 고용지표 견조, 미중 회담 기대감↑” (1) | 2025.06.08 |
2025년 5월 30일 미국 증시 마감 리뷰: 혼조 속 5월 랠리 유종의 미 (0) | 2025.05.31 |
2025년 5월 27일(화) 미국 증시 요약: 무역 완화 + 소비심리 반등, 시장은 환호 (1) | 202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