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6일 미국 증시 요약
2025년 3월 26일 수요일, 미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안감과 인공지능(AI) 투자 관련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시장이 흔들렸습니다.
1. AI 투자 둔화 우려와 반도체 업계 하락
AI 컴퓨팅 장비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엔비디아(Nvidia)와 브로드컴(Broadcom) 등 반도체 관련 기업들의 주가를 끌어내렸습니다. 여기에 미국 행정부가 자동차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발표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더욱 커졌습니다.
2.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장 마감 후 자동차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조치는 2025년 4월 2일부터 시행되며, 영구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중국이 틱톡 문제에 협조할 경우 일부 관세를 완화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었습니다.
3. 엔비디아와 반도체 업계 타격
파이낸셜 타임즈는 중국의 고성능 반도체 규제가 엔비디아의 매출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는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 기업 중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가 미국과 유럽에서 추진하던 신규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를 축소하면서 반도체 업계의 하락세가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4. 시장 전문가들의 반응
- 페퍼스톤의 마이클 브라운: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너무 커서 기업과 소비자는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다."
- CFA 리서치의 샘 스토른: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관련 발언을 할 때마다 시장은 환호하거나 후퇴한다."
- 모건스탠리의 다니 스리: "정책 불확실성이 여전해 변동성이 큰 시장 환경이 지속될 것이다."
5. 주요 지수 및 금리 동향
- S&P 500 지수: 1.1% 하락
- 10년물 국채 금리: 4.35% (3bp 상승)
관세로 인해 가격 상승 우려가 커지면서 기업들이 재고 확보에 나섰고, 이에 따라 미국의 2월 내구재 주문이 예상보다 증가했습니다.
6. 연준의 반응
연준(Fed) 위원들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세인트루이스 연은의 불러드 총재: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영향이 일시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연준이 금리를 더 오래 동결할 가능성이 있다."
- 미니애폴리스 연은의 카시카리 총재: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을 유발할 경우, 금리 인상이 정당화될 수 있다."
2025년 3월 27일(목) 주요 일정
내일은 미국의 중요한 경제 지표들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 21:00 미국 4분기 실질 GDP 성장률
- 22:30 미국 2월 도매재고, 4분기 근원 PCE,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 23:00 잠정 주택 판매, 천연가스 재고
- 자정 미국 3월 캔자스시티 연은 제조업 생산지수
- 02:00 미국 7년물 국채 입찰
- 05:30 연준 바킨 총재 연설
이번 주 증시는 관세 정책과 AI 투자 둔화 우려, 그리고 연준의 금리 정책이 주요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투자자들은 경제 지표와 연준 관계자들의 발언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