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리밸런싱의 비밀: 워렌 버핏이 자산을 관리하는 방법

economiz 2025. 4. 5. 23:48
반응형

주식 시장의 본질

주식 시장은 항상 오르지 않습니다. 하락할 때는 무섭게 떨어지고, 오를 때는 엄두도 안 날 정도로 급등합니다. 빨간 차트는 많이 떨어지고 적게 오르지만, 파란 차트는 적게 떨어지고 많이 오릅니다. 이런 시장에서 꾸준히 성과를 내는 방법이 있을까요?

정답은 바로 리밸런싱(Rebalancing) 입니다. 오늘은 리밸런싱의 원리와 우리가 주의해야 할 점들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리밸런싱이란?

리밸런싱이란 자산의 현금과 주식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투자 포트폴리오를 주식 50%, 현금 50%로 맞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매월 한 번씩 이 비율을 다시 조정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 엔비디아: 426% 상승
  • 테슬라: 187% 상승
  • 나스닥: 70% 상승
  • S&P 500: 50% 상승

단순히 50% 비율을 맞췄을 뿐인데도 성과가 탁월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1. 비싼 주식을 팔고, 싼 주식을 사라

리밸런싱을 하려면 비싼 주식을 팔아야 하고, 싼 주식을 사야 합니다. 즉, 고점에서 매도하고 저점에서 매수하는 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2. 변동성을 줄인다

리밸런싱을 하면 차트가 평평해집니다. 즉, 변동성이 줄어들고 리스크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른 투자자들이 폭락장에서 공포에 떠는 동안, 리밸런싱을 하는 투자자는 상대적으로 적게 손해를 보고, 저점에서 더 많은 주식을 살 수 있습니다.

워렌 버핏의 비밀

실제로 워렌 버핏은 항상 일정한 비율로 현금 자산을 유지합니다. 주가가 오르면 일부 주식을 매도하여 현금 비중을 맞추고, 주가가 내리면 현금을 사용해 주식을 더 매수하는 방식입니다.

결과적으로, S&P 500이 360% 오르는 동안 버크셔 해서웨이는 1,800% 상승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운이 아닌, 철저한 리밸런싱 전략의 결과입니다.

국민연금도 리밸런싱을 활용한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S&P 500이 16% 폭락했을 때, 국민연금은 8.2% 하락하는 데 그쳤습니다. 이유는 바로 리밸런싱 덕분입니다. 일정한 비율로 현금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손실을 줄이고 기회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대중 심리에서 벗어나라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폭등할 때 매수하고 폭락할 때 매도합니다. 테슬라가 급등할 때 수많은 투자자가 몰려들었고, 폭락할 때는 다들 손절했습니다.

하지만 리밸런싱을 하면 반대로 움직입니다. 즉, 폭락할 때 매수하고, 폭등할 때 매도하는 구조가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

자산 선택이 중요하다

리밸런싱 자체도 중요하지만, 어떤 자산을 선택하느냐가 더욱 중요합니다. 과거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 1980년대: 일본 주식 전성기 → 미국 주식은 300% 손실
  • 1990년대: 미국 닷컴 버블 → 일본 주식은 400% 손실
  • 2000년대: 중국 원자재 붐 → 미국 주식은 200% 손실
  • 2010년대: 미국 테크 주식 전성기 → 중국 주식은 170% 손실
  • 2020년대: AI 전성기 → 엔비디아 2,600% 상승

이처럼 시대에 따라 강세를 보이는 자산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다양한 자산을 연구해야 합니다.

위기 상황에서의 자산 배분

경제 위기 때는 어떤 자산이 강세를 보일까요?

  1. 달러: 경제 폭락 시 가장 가치 있는 자산 (예: IMF 때 1,850원, 코로나 때 1,440원)
  2. : 경제 침체기마다 상승 (예: 인플레이션 우려 시 강세)
  3. 채권: 금리가 하락하면 상승
  4. 미국 주식: 경제 성장기 강세
  5. 신흥국 원자재 주식: 물가 상승기에 강세
  6. 성장주(나스닥): 저금리 성장기에 강세, 금리 상승기에는 약세
  7. 가치주: 변동성이 적고 안정적

과거 사례를 보면, 특정 자산이 특정 시기에 강세를 보입니다. 레이 달리오는 코로나 시절 인플레이션을 예측하고 원자재에 투자했습니다. 결과는 정확히 맞아떨어졌습니다.

  • 나스닥: -32% 하락
  • 원자재: +52% 상승

결론: 리밸런싱을 활용하라

리밸런싱을 이해하면 단순한 주식 투자에서 벗어나, 경제 흐름을 이해하고 대중 심리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 남들보다 적게 손해 보고 많이 매수할 수 있다.
  •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 장기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결국, 경제 흐름을 이해하고 리밸런싱을 활용하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로 가는 길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자산 배분과 리밸런싱에 대해 고민해 보세요!

반응형